분류 전체보기 585

영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매튜 윙클러 (Matthew Winkler)

영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매튜 윙클러 (Matthew Winkler) (자막이 있으니 유투브 컨트롤러에서 자막이 나오도록 버튼을 눌러주세요!!) 어떤 시련들이 해리 포터나 프로도 배긴스 뿐만 아니라 많은 문학작품에 나오는 흥미로운 영웅들을 하나로 만들까요? 이들 문학작품에 나오는 영웅들과 보통 사람들 사이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요? 매튜 윙클러는 영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사건들을 차례로 보여줍니다. '영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매튜 윙클러 (Matthew Winkler)'입니다.

이것저것 2016.10.04

[펌]우리나라에서 음식점을 하면 안되는 이유, 자영업은 안돼

[펌]우리나라에서 음식점을 하면 안되는 이유, 자영업은 안돼 지금 하는 일을 언제까지 할수 있을까? 생각해보니 10년? 길어야 15년정도가 최대치 같더군요 그래서 언젠가부터 퇴직후 남은 여생을 뭐하면서 먹고 살수 있을까? 결혼은 어차피 안할테니(안한다고 해야 그나마 위로 ;;;;;) 그냥 혼자 적당히 남들 즐기는 수준으로 살려면 퇴직후 적어도 20년은 꾸준히 벌이가 있어야 할텐데 딱히 그나이에 무슨 기술을 배워서 먹고 살만한게 없나 찾아봐도 노가다쪽은 인맥없으면 그것도 힘들고 용접같은것도 생각보다 상황이 안좋다하고 그나마도 젊은사람이나 할만하지 나이많은 사람이 처음부터 배워서는 돈벌이가 안된다고 하고....... 공장일이야 일단 그나이 사람을 쓰는 곳도 거의 없을 뿐더러 공장일을 버틸 몸이 안되니 애시당..

이것저것 2016.10.03

왕좌의 게임에 대해 당신이 몰랐던 7가지 사실들

왕좌의 게임에 대해 당신이 몰랐던 7가지 사실들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은 2011년 4월 17일부터 현재까지 HBO에서 방영중인 드라마이다.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데이비드 베니오프가 D. B. 와이스와 함께 기획하여 2011년 4월 17일에 처음 방영되었다. 현재 시즌 5가 종영된 상태이다. 2016년 시즌6도 7월 1일에 종영되었다. 조지 R.R. 마틴의 판타지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를 원작으로 하여 줄거리를 따른다. 허구의 세계인 웨스테로스 대륙의 7개의 국가와 하위 몇 개의 국가들로 구성된 연맹 국가인 칠 왕국의 통치권, 철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을 그려낸 드라마이다.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귀족 가문의 다툼 외에도 북부의 '아더'의 위협 그리고 15년 전에 내전..

이것저것 2016.10.01

[왕좌의게임] 여러분이 다시보고싶은 죽은 케릭터는?

[왕좌의게임] 여러분이 다시보고싶은 죽은 케릭터는? 에다드 스타크 도란 마르텔 (오베린 마르텔 형) 라이사 툴리 렌리 바라테온 란셀 라니스터 다이아 울프 (유령이하나살음 나메리아 행방불명) 로라스 티렐 젊은늑대 롭 스타크 렘지 볼튼 아주 짧게나온 리안나 스타크(사진이없) 릭카드 카스타크 릭콘 스타크 마저리 티렐 만스 레이더 미르셀라 바라테온 드라마속 너프먹은 바리스탄 셀미 발론 그레이조이 (강철군도 왕) 브린덴 툴리 (블랙피쉬) 쉬린 바라테온 (스타니스 딸) 스타니스 바라테온 오베린 마르텔 오샤 (스타크가문 하녀) 이그리트 제오르 모르몬트(나이트워치 로드커맨더) 조젠 리드 (워그 능력자) 좆뿌리 바라테온 칼 드로고 캐틀린 툴리 타윈 라니스터 탈리사 스타크 토멘 바라테온 대문관 파이셀 왈더 프레이 암덩어리..

이것저것 2016.10.01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연구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연구 많이들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현실적인 조건의 문제 때문에 그러지 못하는데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행복하게 사는가? 그냥 정신적으로만 그런가 정말 물질적으로도 행복하게 사는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들 중 얼마나 되는 사람이 정말 만족하며 살까? 통계적으로 궁금하다. 그리고 하고 싶은 일이라는 것을 밝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내가 경험한 바로는 사람은 정말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는 건 어렵고 누군가의 욕망을 욕망하기가 너무나 쉽다.그래서 착각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관심을 자신의 관심인줄 그러한 것에 대해서 분명한 연구가 필요하지 않은다. 교육 심리학에서도 행복 심리학에서도 꼭 필요할 것 같다. 이런 책도 한 ..

낙수효과(Trick down effect) = 개소리

낙수효과(Trick down effect) = 개소리 낙수효과(落水效果) 또는 트리클다운 이펙트(영어: trickle-down effect)는 대기업, 재벌, 고소득층 등 선도 부문의 성과가 늘어나면, 연관 산업을 이용해 후발·낙후 부문에 유입되는 효과를 의미한다.[2] [3]컵을 피라미드같이 층층히 쌓아 놓고 맨 꼭대기의 컵에 물을 부으면, 제일 위의 컵부터 흘러들어간 물이 다 찬 뒤에야 넘쳐서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간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국부의 증대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분배보다는 성장을, 형평성보다는 효율성을 우선시한다는 전제로부터 나온 것이지만, 이를 뒷받침 해주는 사회과학적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알려진 바로는, 1896년 7월 9일, 미합중국 민주당 시카고 전당대회에서 윌리엄 브라이언..

이것저것 2016.09.30